Suivant

[김대호의 경제읽기] 미,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…가상자산 견인할까 / 연합뉴스TV (YonhapnewsTV)

24/05/24
연합뉴스TV

[김대호의 경제읽기] 미,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…가상자산 견인할까 [출연 : 김대호 경제학 박사] 경제 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'경제읽기' 시간입니다. 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,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짚어보겠습니다. 안녕하세요. [질문 1] 국 증권거래위원회가 이더리움 현물 상장지수펀드를 미승인했습니다. 며칠 전까지만 해도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에 대한 전망이 밝지 않았는데 승인이 나올 수 있었던 배경은 무엇일까요? [질문 2] 이더리움 현물 ETF가 승인되며 제도권 금융자산에서 가상자산의 위상이 높아지게 됐지만 시장의 기대감이 지나치다는 신중론도 나오는데 어떻게 보십니까? 현물 ETF 승인이 만능은 아니라는 뜻으로도 읽히는데 투자자들이 주의해야 할 점은 없을까요? [질문 3] 미국이 비트코인에 이어 이더리움까지 현물 ETF를 승인하며 우리나라도 도입할지, 시기는 언제쯤일지도 관심인데 어떻게 전망하십니까? [질문 4] 조미김 시장 1위인 동원F&B가 김 가격 인상 대열에 합류하게 됐습니다. 조미김 업체들은 올해 원초 가격이 전년대비 2배로 올라 원가 부담을 감당하기 어렵다고 호소해왔는데 여파가 컸던 걸까요? [질문 5] 일본과 중국의 원초 작황 부진이 더해지며 수출 수요가 늘어나 김 가격은 더 큰 폭으로 오르고 있습니다. 정부는 6월에도 김 할인 지원을 계속하고 할당관세 물량도 신속히 도입하겠다 했는데 가격 안정 효과는 어떨까요? [질문 6] 마지막 주제입니다. 삼성전자가 미국 반도체 업체 엔비디아에 고대역폭 메모리(HBM)를 납품하기 위한 테스트를 아직 통과하지 못했다는 소식에 투자자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 HBM, 정확히 무엇이기에 그런 건가요? [질문 6-1] 올해 들어 반도체 업황과 실적이 개선됐지만 삼성전자는 최근 '원포인트 인사'를 통해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 수장을 전영현 전 미래사업기획단장으로 교체했는데 배경 중 하나로 'HBM'이 꼽히고 있어요? [질문 7] AI 시대가 본격화 되며 HBM 수요는 점점 커지는 상황입니다. 현재 HBM 시장은 SK하이닉스가 점유율 53%로 우위를 점하고 있는데 초격차를 이야기하던 삼성전자가 SK하이닉스보다 HBM 양산에 뒤처진 이유는 무엇인가요? [질문 7-1] 삼성전자는 HBM 공급을 위한 테스트를 순조롭게 진행 중이라는 입장인데 시장의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을까요? 만약 삼성이 엔비디아의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한다면 향후 여파는 어떨까요?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 ▣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 https://goo.gl/VuCJMi ▣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/ Yonhap News TV http://www.yonhapnewstv.co.kr/

Montre plus

 0 commentaires sort   Trier par


Suivant